교회교리서

성령의 상징

chamhappy_nanumi 2007. 11. 12. 00:35
    성령의 상징 694 물. 물은 세례에서 성령의 활동을 상징한다. 왜냐하면 성령 청원 기도 후에, 물은 새로운 탄생을 나타내는 유효한 성사적 표징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의 첫 탄생을 위한 잉태가 물 속에서 이루어지듯이, 세례수는 하느님 생명으로 다시 나는 우리의 탄생이 성령 안에서 주어진다는 것을 실제적으로 의미한다. 우리는 모두 “한 성령으로 세례를 받아…… 같은 성령을 받아 마셨다”(1고린 12,13). 그러므로 성령께서는 또한 샘에서 물이 솟아나듯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라는 샘에서 솟아나는 생수이시며, 이 생수는 우리 안에서 솟아올라 영원한 생명을 주신다. 695 기름부음. 기름부음도 성령을 상징한다. 성령과 기름부음은 동의어로 쓰일 정도이다. 그리스도교 입문 성사에서 기름부음은 견진의 성사적 표징인데 동방 교회에서는 이 성사를 ‘크리스마 도유’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 기름부음의 효력 전체를 파악하려면 성령께서 처음으로 행하신 기름부음, 곧 예수님의 기름부음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그리스도(히브리어로 ‘메시아’)는 하느님의 성령으로 ‘기름부음을 받은 분’을 의미한다. 구약에는 주님께 ‘기름부음을 받은 이들’이 있었고, 그 중의 특출한 예가 다윗 왕이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독특한 방식으로 하느님께 기름부음을 받으셨다. 성자께서 취하신 인성은 온전히 ‘성령의 기름부음’을 받았다. 예수님께서는 성령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로 세워지셨다. 동정 마리아는 성령으로 그리스도를 잉태하고, 성령께서는 그분의 탄생 때 천사를 통해 그분을 그리스도라고 알리시며, 시므온을 성전으로 이끌어 주님의 그리스도를 만나 뵙게 하신다. 성령께서는 그리스도를 가득 채우시고, 성령의 힘은 그리스도의 치유와 구원의 행위들 안에서 드러난다. 마침내 성령께서는 예수님을 죽은 이들 가운데서 다시 살리신다. 이리하여 죽음을 이긴 당신 인성 안에 충만히 ‘그리스도’로 세워지신 예수님께서는 ‘성도’들에게 성령을 넘치게 부어 주시어, 그들이 하느님 아들의 인성과 결합하여 “완전한 사람이 되고 그리스도의 충만함의 완숙한 경지까지 이르게”(에페 4,13) 하신다. 아우구스티노 성인의 표현에 따르면 ‘온전한 그리스도’에 이르게 하신다는 것이다.